-
상수와 리터럴
상수(constant)란?
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,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.
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'final'을 붙여준다.
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.
ex) final int MAX_SPEED = 10;
상수에 값이 저장된 후에는 상수의 값을 변경하려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
ex)final int MAX_VALUE = 100; // 정수형 상수 MAX_VALUE에 100 값 저장
MAX_VALUE = 200; // 에러 발생 : 상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음.
long 타입은 끝에 l 또는 L을 붙여야 한다. 소문자 l은 다른 문자와 혼용될 가능성이 있어 주로 대문자 L을 사용한다.
ex) long big = 100000000000L;
리터럴(literal)이란?
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직접 입력된 값상수가 저장공간이라면, 리터럴은 저장된 값 그 자체
정수 리터럴
2진수 : 0b 또는 0B로 시작하고 0과 1로 구성된다.
8진수 : 0으로 시작하고 0~7 숫자로 구성된다.
10진수 : 소수점이 없는 0~9 숫자로 구성된다. (가장 많이 사용)
16진수 : 0x 또는 0X로 시작하고 0~9 숫자와 A, B, C, D, E, F 또는 a, b, c, d, e, f로 구성된다.
실수 리터럴
※ 실수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 : float, double
단 float 타입 뒤에 f는 필수로 붙여야 함. double 뒤에 붙이는 d는 생략가능
10진수 실수 : 소스 코드에서 소수점이 있는 숫자 리터럴또한 알파벳 e나 E가 포함되어 있는 숫자 리터럴은 지수와 가수로 표현된 소수점이 있는 10진수 실수로 인식한다.10진수 지수와 가수로 간주
문자 리터럴
작은 따옴표 (') 로 묶은 텍스트 하나의 문자 리터럴
하나의 문자열이 반드시 있어야 함 ( char ch = ''; 불가능 )
ex) char ch = 'A';
문자열 리터럴
큰 따옴표 (") 로 묶은 문자열
빈 문자열 가능 ( String str = ""; 가능 )
ex) String str = "새몽의 기록";
논리 리터럴
참(true), 거짓(flase)로 구분된다.
논리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은 boolean
변수 :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
상수 :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
리터럴 :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변수, 상수, 리터럴 구분 '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본형과 참조형 (0) 2023.12.01 자주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(0) 2023.12.01 변수의 타입 (0) 2023.12.01 자바 예약어 종류 (0) 2023.12.01 변수의 선언과 저장 (0) 2023.12.01